경희대학교 교육혁신사업단

뒤로가기 메인페이지로이동

대학혁신지원사업

주요성과

교육

[성과사례] PBL 중심 자기주도형 학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관리자 2021-02-04 조회수 2723

첨부파일

성과사례

PBL 중심 자기주도형 학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Keyword

#PBL #학업역량강화 #자기주도형 학습 #학생맞춤형 교육 #능동형 학습

 

1. 추진 배경

ㆍ미래형 교육혁신을 위해 이론중심 교육에서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는 PBL 중심의 능동적 교육으로 전환 필요함. 따라서 교과/연구/융합 및 비교과를 아우르는 세가지 PBL 중심 자기주도형 학습 프로그램을 추진함

[독립심화학습] 학생-교수 간 주제에 따른 학문적 소통으로 학문적 유대를 강화하고, 학생이 관심 있는 문제에 대해 몰입하는 자기주도형 학습으로 학문적 역량을 배양함

[학부생 연구] 인류의 미래 핵심산업 성장에 기여 하는 인재양성을 위해 학생의 도전적 연구를 장려하고, 학생의 창의적 연구역량 강화 및 자기 주도적 연구 기회 제공

[전환21]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 연구, 실천의 창의적 과제에 대하여 학생의 사고구성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계발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대학의 협력적 학습문화 정착

      묶음 개체입니다.


2. 추진 내용 및 실적

ㆍ대학 내 PBL 중심 자기주도형 학습 관련 주요 설문 및 수요조사

- 경희 미래대학리포트(2016, 학생 1만여명 참여, FGI, 소셜 픽션, 다이어그램 연표 등 의식 분석)

- 미래세대를 위한 탁월한 교육/연구 설문조사(2017, 구성원 약 4천명 참여)

- 독립학습 설문 조사 결과(2017.12~2018.01, 학생-교원 약 700명 대상)

[설문문항 및 응답내용 일부 발췌]

질문

라고 응답한 비율

학생

교원

독립학습은 사회진출에 도움이 될 것이다.

89.7%

91.9%

독립학습은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는 것이 좋다.

92.8%

94.2%

독립학습을 수강하고 싶다/개설하고 싶다.

90.6%

94.2%

ㆍ대학 중장기발전계획 Global Eminence 2020+(2019)의 전략분야(교육, 연구, 실천)의 전략과제 및 주요 실행과제로 ‘PBL 기반 능동형 전공교육 고도화’, ‘학생 연구지원시스템 강화’, ‘지속가능한 실천 활동등 관련 내용 수록

ㆍ부총장주재 학장ㆍ부서장회의, 실무부서장 회의 등에서 학생 수요 및 학업능력 강화방안 등 발표, 논의

ㆍ운영주체 및 담당부서

- 독립심화학습(각 단과대학, 교육혁신사업단), 학부생 연구(연구처), 전환21(미래문명원)

ㆍ프로그램별 세부 내용

 

독립심화학습 프로그램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

전환 21 프로젝트

특징

· 전공과 교양의 교육과정을 심화하여 학생 스스로 주제를 정하고 교수와의 1:1 소통을 통해 성과를 도출하는 자기주도적 학생맞춤형 교육과정

· 학부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창의적인 학술연구 주제에 대하여 학부생이 연구계획서와 결과물(논문)을 제출하고 심사

· 교수와의 밀착지도를 통해 자기주도적 연구 기회 제공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 연구, 실천 분야의 창의적 과제 지원

· 학생의 사고구성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계발하여 사회 혁신에 기여하는 협력적 학습문화 정착과 활성화

사업

목적

· 학업능력 향상하고 전공지식 심화하는 학생맞춤형 교육 실천

· 학생연구 프로그램 및 지원을 통한 연구지원시스템 혁신

· 글로벌 연계 협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을 통한 사회 기여 기반 조성

사업

목표

· 우수 결과물 선정과 공유로 수범사례 확립 및 교육의 수월성 향상

· 학부생의 창의적 연구역량 강화 및 자기 주도적 연구 기회 제공

· 미래지향적이고 인류사적 난제 해결에 도전하는 창의적 과제 활동 지원

주요

절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42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6pixel, 세로 133pixel

 

사업

기간

· 1학기/2학기

· 1

· 1

지원

대상

· 전공과 관련된 주제로, 학생과 교수가 몰입 학습 및 결과 도출이 가능한 과목

· 본교 재학중인 전학년 학부생 개인/

· 직전학기 이수학점 및 성적 기준 충족

· 학부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창의적인 학술연구 주제

· 본교 재학중인 2~4학년 학부생 개인/

· 직전학기 이수학점 및 성적 기준 충족

· 인류사적 난제 해결에 도전하는 학술,교육,실천분야 주제

· 본교 재학중인 학부생,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팀

참여

인원

 

신청현황

선정현황

신청현황

선정현황

신청현황

선정현황

인문사회

5(9)

3(6)

1학기

29(62)

26(56)

자연

8(16)

3(8)

9(18)

6(12)

2학기

20(46)

18(43)

의학

8(13)

3(7)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71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3pixel, 세로 38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71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4pixel, 세로 26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71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8pixel, 세로 443pixel

그래프 : 누적 참여인원

지원

사항

· 개인별 장학금 지급

· 담당 교수의 1:1 지도

· 우수사례 선정시 상장 수여

및 상금 포상

· 우수사례 활동수기 홈페이지 게시

· 팀별 연구지원금 지급

· 학술지 투고 기회 제공

· 연구관련 세부 밀착지도

· 우수사례 선정시 총장상 수여 및 상금 포상

· 팀별 학생지원금 지급

· 자문기관 방문, 간담회 지원

· 담당 멘토를 통한 진행 사항 점검 및 관리

· 참가 확인증 발급

주요

과제내용

· 지역화폐 정책 방향 및 효과예측에 관한 연구

· 커피 공정무역 사례를 통한 기업, 소비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소수자 의제의 국회 통과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및 제도적 개선방안 제안

· 나노 전자원을 이용한 리소그래피기술 개발

· 못난이 농작물 상품화를 통한 지역 소농 권리 증진 및 생태 보존

· 전래동화의 고전적가치 및 한계의 연구와 대안적 동화제시


3. 추진 성과

ㆍ프로그램별 주요성과

 

독립심화학습 프로그램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

전환 21 프로젝트

주요

성과

· 전공 이외의 학문을 결합하여융합전공 혁신교육을 위한 발판 마련

· 교수-학생의 1:1 지도를 통한학문적 유대 강화 및 학문 전수 가능

· 학생의 도전적 연구를 장려하고 연구역량 강화 기반 마련

· 학생의 창의적 연구역량 강화 및 자기 주도적 연구 기회 제공

· 협력을 통해 발전적인 형태의 실천활동 기획 및 모델 구축

· 결과물 공유를 통한 구성원들의 인식개선 및 확장

· 새로운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 및 도전정신 함양, 실천능력 향상

ㆍ성과사례의 효과 평가방법

 

독립심화학습 프로그램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

전환 21 프로젝트

평가

방법

연구계획서 진행완결성

40

논문의 독창성

25

추진역량

5

과제의 구체성

40

논문의 학문적 가치

30

문제해결 기여도

20

연구결과의 독창성과

교육적 함의

60

논문의 완성도

30

과제 및 결과 영향

20

연구계획서 이행 정도

15

실현가능성

15

 

100

 

100

 

100

ㆍ프로그램별 우수사례

독립심화학습 프로그램

지리학과

(2)

주제

한국형 테마파크 조성 입지분석 및 VR게임 개발-‘카카오 프렌즈를 중심으로

주요

결과

한국형테마파크의 컨텐츠들을 분석하고, 입지분석을 통한 최적입지 선정 후 스케치업이라는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확실한 테마와 캐릭터적 요소를 갖춘 최종 결과물 도출함

산업경영

공학과

(3)

주제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역화폐가 중소기업 경제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효과 분석'

주요

결과

지역화폐의 속성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조사 후, 지역별로 GRDP, 인구, 재정자립도, 도시비율, 온누리상품권 발행액 정보 등을 활용하여 군집화 한 결과를 반영하여 선호도 세분화하여 분석함. 지역의 인프라 정도를 고려한 적정 인센티브 제공에 따라 선택확률이 달라진 다는 결과 도출함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

약과학과

(3)

주제

박테리아 quorum sensing 물질이 장의 밀착연접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요

결과

다양한 쿼럼센싱 분자 중 AHLcyclo를 인간결장암세포주에 처리한 후 단백질 발현수준을 확인한 결과, 항염증, 항산화 작용 등 인간의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rf2와 그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

한의학과

(2)

주제

Vorioxetine과 자음강화탕 병용투여의 항우울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주요

결과

Drug administrationamyloid B infusion 전후로 시행하여 우울증에 대한 약물의 예방뿐만 아니라 치료효과까지 확인 함

전환 21 프로젝트

의상학과

(2)

주제

마스크 보관용 기능성 파우치 연구 개발 및 판매

주요

결과

마스크 파우치 샘플 개발 및 제품네이밍과 로고 개발을 바탕으로 상표출원,

크라우드펀딩 스토리보드 제작

의예과

(2)

주제

가상현실을 활용한 카데바 실습의 교육 만족도와 사용성 평가

주요

결과

가상현실 기기를 활용한 카데바 실습 진행 후 교육만족도 및 사용성 평가 진행하여 긍정적 결과 도출. 세부내용 학술지 논문 게재 완료



4. 향후 계획

경희 학생역량강화 종합포털시스템 구축 예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c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2pixel, 세로 184pixel  

- 학습역량강화 사업 및 관련 사업 홍보, 심사, 사후관리 등의 체계화, 일원화, 구체화 예정

- 각 해당 사업간 연계협력 및 시너지 효과 창출

각 프로그램의 사업 홍보 및 성과를 전 구성원에 공유하여 선순환 구조 확립

- 홈페이지, SNS 등 각종 매체를 통한 적극적인 사업 홍보를 통해 많은 학생의 참여 유도 예정

5. 벤치마킹 시 고려할 점

다양한 학문 분야의 많은 학생들의 참여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사업 홍보 필요

- 홍보 창구 및 사업 공고의 일원화, 체계화

- 홈페이지, SNS 등 홍보 매체 다각화

- 학생들의 사업 이해도와 친숙도를 높일 수 있는 사업안내 자료 마련

학생 참여 유사 사업 운영 부서 간 사전 업무 조율 필요

- 유사 내용의 사업으로 학생들의 혼선 방지 필요

- 동일 또는 유사 주제의 중복 지원 방지

- 각 사업간 연계성 강화와 시너지 효과 창출

각 프로그램의 성과를 전 구성원에 공유하여 선순환 구조 확립

- 프로그램 성과 홍보 창구의 일원화

- 학생-교수자간 상호 피드백을 주고 받는 선순환 구조 마련

- 성과 확산을 위한 다양한 방식에 대한 고민 필요


이전글 글쓰기 클리닉 운영 2021-02-04
다음글 새로운 대학교육의 혁신모델 (사회혁신 리빙랩 프로젝트) "경희대 x모슬포 리빙랩" 2021-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