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 교육혁신사업단

뒤로가기 메인페이지로이동

대학혁신지원사업

주요성과

교육

경희대생들을 위한 자신의 이해와 진로 탐색의 장

관리자 2020-02-13 조회수 1367

첨부파일


경희대학교 미래인재센터에서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 아래 ‘자신의 이해와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학년별, 취업준비 정도별로 구체적인 정보와 상담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 2019년부터 시행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객관적으로 스스로를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진로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다. 자신의 이해와 진로탐색 프로그램이라는 이름하에 시행된 총 세 가지의 프로그램이 있다. 


첫째, 학년별로 진행되는 진로탐색 캠프다. 

 각각 더욱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하계방학 때는 저학년 35명을 대상으로, 동계방학 때는 고학년 35명을 을 대상으로 하여 캠프가 진행되었다. 캠프는 1박2일간 진행되며, 다섯 가지의 진로탐색 교육을 강사와 함께 진행한다. 강사료와 프로그램 교재 및 운영비에 총 예산 1,000만원이 사용되었다. 




둘째, 자기이해를 기반으로 한 개인행동 스타일 검사, Extended DISC다

 DISC 성격유형검사는 인간이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또 그 환경 속에서 자신의 힘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가 네가지 형태로 성격을 구분한다. 이는 학생들의 분석적인 자기이해를 돕기 위해 준비된 프로그램이다. 2019년 한 해 동안 미래인재센터의 DISC 검사를 이용한 학생은 약 210명을 달성했다. 

실제 검사를 받아본 정경대 소속의 한 학생은, 1:1 상담을 통해 결과를 자세히 해석해주며 편안한 분위기가 잘 조성되어 있어 좋았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결과 검사가 상당히 정확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추천해주고 싶다고도 전했다. 

이 DICS 검사 프로그램에는 워크샵 실시비용과 검사비용으로 약 2,200만원이 소요되었다. 


셋째,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진로탐색 현직자 릴레이 특강 NJT10(New Job Top10)이다. 

 이는 사회 흐름에 발맞추어 학생들에게 신산업/신기술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미래 인재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프로그램이다.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맞춘 인재 양성은 교육 분야에서 가장 주력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작년 11월에 시행되었으며 열흘간 연일로 10분의 현직자께서 강연해주셨다. (인공지능(AI) 전문가, 1인 미디어 전문가, 바이오/헬스 산업의 이해, 빅데이터 전문가, 3D프린팅 산업의 이해, 사물인터넷(IoT)산업의 이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문가, 게임 산업의 이해, 블록체인 전문가, VR/AR  산업의 미래) 순으로 강연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강사료와 교재제작비로 800만원이 사용되었다. 




이렇듯 다양한 진로탐색 활동들이 체계적으로 준비되어있지만, 한계점이 있다면 학생 참여도일 것이다. 해당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미래인재센터 손승연 선생은, 최대한 많은 학생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운영에 대해 고민이라 밝혔다. 

활동에 매력을 느끼지 못해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도 있겠지만, 이 활동의 유무를 알지 못해 참여하지도 못하는 학생들이 많을 것이다. 이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경희대학교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해 보았다. ‘자신의 이해와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대해 알고 있는가? 라는 물음에 약 18%의 학생이 알고 있다고 답했다. 즉, 나머지 82%의 학생들은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물론 대학교는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정보를 찾고 선택하도록 하는 곳이지만, 더 많은 학생들에게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홍보가 좀 더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자연히 입소문이 퍼지리라는 기대도 할 수 있다. 


‘자신의 이해와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2019년도의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더 효율적으로 동일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미래인재센터 손승연 선생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니 학생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자신의 이해와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대한 소식은 인스타그램 @Khu_job 혹은 경희대학교 미래인재센터 홈페이지에서 받아볼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더 많은 경희대학교의 학생들이 스스로 진로에 대해 탐색하고 본인의 역량과 능력을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란다. 


[취재/대학혁신지원사업 학생모니터링단 이승민/정경대학-정치외교학과]

이전글 문화세계의 변혁, 안드로이드 세상 2020-02-04
다음글 교직과정 지원 프로그램,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한 교직이수자에 대한 새로운 역량 개발 2020-02-13